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운동화 신고 누빈 4만㎞ … 창원시가 이룬 것은?

허성무 시장 취임 1년 시정 변화
스마트산단 지정 ‘산업 진화’ 시작
수소산업특별시로 전국에 이름 알려

  • 기사입력 : 2019-06-18 20:54:44
  •   
  • 허성무 창원시정이 오는 7월1일로 1년을 맞는다. 허 시장은 지난 1년간 운동화를 신고 전국 4만㎞를 누볐다. 그 결과 창원시가 스마트 선도산단으로 지정되고 수소산업도시로 전국에 이름을 알리게 됐다. 하지만 창원의 인구유출 가속화 방지와 성산구의 고용위기지역 지정은 이뤄내지 못했다.

    허 시장은 창원시 최초 더불어민주당 시장으로 취임 1년을 앞둔 18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경남신문을 비롯한 지역 언론사 기자들과 시정 변화상을 공유하고 1년 동안 거둔 결실과 아쉬움을 밝혔다.

    허성무 창원시장이 18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창원의 기분 좋은 변화, 1년’이라는 주제로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김승권 기자/
    허성무 창원시장이 18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창원의 기분 좋은 변화, 1년’이라는 주제로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김승권 기자/

    ◆분야별 시정 변화상= 창원시의 올해 최대 화두는 단연 경제다. 그만큼 경제 반등 전환점 마련에 노력했다. 특히 내륙, 해양 두 축으로 먹거리 배양 토대를 마련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내륙일대는 스마트 산단과 수소, 항공·방위, AI로봇 분야로 산업구조 재편에 들어가고, 창원바다는 제2의 개항 선언으로 동북아 해양 거점도시로 주권과 권리회복 의지를 대외에 분명히 했다.

    눈에 띄는 성과도 있다. 수소분야는 지난해 11월 수소산업특별시 선포 이후 수소생산기지 국가사업 유치, 국내 최초 도심 속 패키지형 충전소 구축, 수소액화플랜트 조성을 위해 두산중공업과 MOU 체결 등 8개월 만에 굵직한 결실을 거뒀다. 특히 이 같은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전략은 지난 6월 환경의 날 당시 창원을 찾은 문재인 대통령도 인정한 바 있다.

    창원국가산단은 매년 2000억원의 국비가 투입되는 스마트 선도산단으로 선정돼 대한민국 미래형 산단으로 새로운 진화를 시작했다. 봉암공단, 자유무역지역 내 11개사에 대해서는 스마트 공장 구축 지원으로 설비와 제조공정 과정의 고도화 작업에 들어갔고, 진해 (구)육대부지에는 중소형 특수선박 지원센터 등 5개 기관 입주가 확정됐다.

    창원시는 중앙부처, 청와대, 국회의원 등 여야를 가리지 않고 찾은 결과 국비 1조794억원을 확보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15개(1조2000억원 규모) 정부 공모 사업도 대거 유치했다.

    ‘창원 세일즈 1호’ 사원을 자청한 허 시장은 1조5000억원 투자 유치를 이끌어내 앞으로 일자리와 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했다. 특히 한국지엠의 9000억원 투자 유치는 역대 창원에서 이뤄진 외국기업 투자 금액으로 최고액이다.

    시는 먹거리 마련과 함께 시민 삶에 대한 지방정부 책임도 강화했다. 어려운 재정 여건에서도 복지예산을 역대 최고수준(본예산 중 41%)으로 늘려 시민 삶에 힘이 되도록 했다.

    중·고교 신입생 1만9000명에 무상교복 지원, 1517개 교실에 공기정화장치 설치, 어린이집 간식비 및 부모부담 보육료 지원 등 보육과 교육에 대한 공공성 강화에 착수했다.

    창원은 환경보호를 시정 최우선 가치 중 하나로 삼고 다양한 친환경 정책을 추진 중이다. 친환경 수소산업과 더불어 시민 건강권 보호와 지속가능한 도시 교통시스템 구축을 위해 대중교통 친환경화를 서두르고 있다.

    전국 최초 수소버스가 정식운행에 들어갔으며, 올해 전기버스 73대를 추가 보급해 대중교통 10% 이상이 친환경 차량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아쉬운 점= 창원시 인구는 통합 이후 2011년을 제외하곤 줄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이에 시는 올해 초 창원형 인구정책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물리적·시간적 한계로 직접적 정책효과로는 이어지지 못했다.

    시는 창원형 인구정책 추진과 함께 산업체질 고도화, 일자리창출로 인구 수 회복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집맥경화’라 불리는 부동산 경기 냉각도 문제다. 지역경기 침체와 주택 공급량 증가로 창원시는 2016년 9월 이후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관리되고 있다.

    시는 주택건설사업 승인 관리계획,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해제 요건 완화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아파트 공급물량을 조절 중에 있다. 최근에는 회원3구역이 경남 최초 공공지원 민간임대 연계형 정비사업에 선정된 바 있는데, 다른 사업장에도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중점 추진과제= 허성무 시장은 하반기 역점분야로 “크게 0%대 마의 경제 성장점 극복과 특례시 실현을 양대 축으로 해 시정을 이끌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허 시장은 “위기상황에 대한 단단한 대비체제를 하나하나 갖춰 가고 있다”며 경제회복에 자신감을 보였다. “신산업, 일자리, 내수 수출·투자 유치 메커니즘 등 창원경제 부흥 4대 전략을 마련했고, 경제살리기 범대책기구를 출범해 다양한 정책 발굴에 나서고 있다”며 시민들과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를 내겠다고 했다.

    허 시장은 “다만 한가지 아쉬운 점은 진해구 고용·산업위기 지역 연장은 정부 설득을 이끌어 냈지만, 성산구 고용위기지역 확대는 정부의 벽을 넘지 못했다”며 “앞으로 성산구 대형 사업장을 중심으로 한 고용 조정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제적 대응 필요성을 정부에 적극 어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창원특례시 실현과 관련, 허 시장은 “지방자치법 전면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된 만큼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와의 결집을 통해 조속 통과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조윤제 기자 cho@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조윤제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