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9일 (금)
전체메뉴

[촉석루] 소유한다는 것- 원정스님(전 창원성주사 주지·진해청소년전당 관장)

  • 기사입력 : 2019-12-04 20:34:48
  •   
  • 메인이미지

    이제는 있는 것도 하나씩 버려야 할 때인데도 재밌는 것이 있으면 가끔씩 손을 댄다. 꼭이 필요해서보다는 그때마다 쓰임새가 있어서 그냥 사는데 사고 보면 또 짐이 된다. 법정스님은 무소유란 책에서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라며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고귀한 것이다”라는 아름다운 가르침을 우리에게 깨우쳐 주셨다.

    세상에서 제일의 무소유의 삶을 사는 인도의 자이나교 수행자들은 옷도 입지 않는 철저한 무소유의 삶을 계율로 생활을 하며 아무리 춥고 더워도 알몸으로 생활하고 하늘을 이불 삼아 잔다. 또한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평생을 걸어서 성지를 순례한다. 이러한 자이나교의 가르침은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운동과 무소유의 삶에 큰 영향을 끼쳤다. 1931년 9월 런던에서 열린 제2차 원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가던 도중에 마르세유 세관원에게 남긴 간디의 어록 얘기는 무소유의 전형이다. 또 토지의 작가 박경리 님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고 한 얘기는 우리의 가슴에 남는다. 그러나 오늘날 문명의 이로움을 만끽하며 살고 있는 우리네 삶에서는 절대적인 무소유의 삶을 살기는 불가능한 일일 것이며, 어느 정도 필요한 것만 이용하고 산다고 하더라도 참으로 아름답고 멋진 삶이리라.

    무소유(無所有)라는 말은 법화경에서 “일체의 모든 것은 허공과 같아서 존재성이 없으며 본래 이름이 없고 상이 없으며, 참으로 있는 바 없다(實無所有)”라고 하였듯이 모든 것의 실상은 본래 그렇게 있는 바가 아니다라는 뜻으로, 물건을 소유하지 않는다는 뜻보다는 모든 존재의 실상이 지금 있는 것과 같이 본래부터 있었고 앞으로도 그렇게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 현재 그렇게 있을 뿐이라는 의미가 더 깊은 뜻이다. 우리는 숨을 쉬고 살아 있는 이 순간 자연의 혜택뿐만 아니라 먹거리 쓸거리 많은 것을 소유, 소비하고 살 수밖에 없다. 그러나 내가 가지고 있는 소유물이 본래 그렇게 있는 바가 아님을 참으로 알아 그 물질에 집착하지 않고 매이지 않아 모두와 더불어 나눌 수 있다면 우리 사회에 끼치는 영향은 결코 무소유의 아름다움에 못지않으리라.

    원정스님(전 창원성주사 주지 진해청소년전당 관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