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19일 (금)
전체메뉴

허권수의 한자로 보는 세상 (966) 불여불제(不如不祭)

-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만 못 하다

  • 기사입력 : 2023-02-07 08:05:30
  •   
  • 허권수 동방한학연구원장

    필자가 한문학(漢文學)을 전공하다 보니, 사람들이 옛날 예법(禮法)에 대해서 묻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답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시원하게 대답을 하지 못 해 늘 부족함을 느껴, 언젠가 예법에 통달하게 예서를 다 읽어 봐야겠다 생각했다. 20년 전쯤 예법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예기(禮記)’와 그 주석을 5년, ‘주자가례(朱子家禮)’와 주석을 2년에 걸쳐서 강독을 다 마쳤다. 예법에 달통하게 되었을까? 아니다. 첫째는 강독 한 번 한다고 내용을 다 외우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오늘날의 생활방식이, 옛날 예법을 적용할 수 있는 상황과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제사를 초저녁에 지내면 어떻습니까?”, “부모 제사 합쳐서 한 번만 지내면, 어떻습니까?” 등등의 질문인데, 옛날에 예서에 나오는 내용이 전혀 아니다. 심한 질문은 “제사 꼭 지내야 합니까?”, “명절 차례는 ‘주자가례(朱子家禮)’에도 없다던데요?” 등등이다.

    제사의 근본은, ‘보답’이고 ‘감사’다. 아득한 원시시대부터 어느 민족을 막론하고 감사하는 제사를 올렸다. 자신을 존재하게 해 주고, 먹고 살게 해 주고, 보호해 주는 것에 대한 최소의 보답이고 감사였다. 그래서 하늘에, 신에게, 조상에게 제사를 올렸던 것이다. 그런데 싫어하고 귀찮은 마음으로 제사를 지내면, 보답하고 감사한다는 제사의 근본을 망각한 것이 된다.

    차례(茶禮)는, 주자가례는 물론이고, 예기, 의례(儀禮), 주례(周禮) 등 중국의 어떤 예서(禮書)에도 안 나온다. 차례(茶禮)는 우리나라 순전히 문화다. 본래 설 추석만 아니고, 1년에 여러 번 올렸다. 정월 초하루부터 시작해서 매달 초하루마다 조상 사당에 올리는 집안도 있고, 매 계절 두 번째 달에 올리는 집안도 있고, 3월 3일, 유두절(流頭節), 중양절(重陽節), 동지 등 올리는 집안도 있었다.

    제수도 집안 따라 다양했다. 중요한 것은 제사 지내는 사람의 정성이다. 투덜거리면서 억지로 지내면, 조상이 받겠는가? 그런 제사는 안 지내는 것이 더 낫다. 그래서 주자가례에서 주자가, “제사의 예법은, ‘정성과 경건[誠敬]함’ 이외에는 따로 힘쓸 것이 없다”고 말씀했다.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예법, 예법 하고 말하나, 예법 행할 때 쓰이는 옥이나 폐백을 두고 말한 것이겠는가?”라고 하셨다. 제사 때 형식이나, 제수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마음이다.

    제사를 받는 조상은 염두에도 없고, 편하고자 하는 자들에게 영합해서 유림의 대표기관이라는 데서, “차례상 간단하게 차리시오”라고 나서고, 제례 전문가라는 학자가, “차례(茶禮)는 ‘주자가례’에도 없는 것이니, 중요하지 않다”고 떠들 필요가 있을까? 영합하고 싶으면 차라리 “제사 안 지내도 전혀 범법행위가 아니니, 지내지 마십시오”라고 하면, 제사 지내기 싫어하는 사람들이 제일 좋아할 것인데.

    *不 : 아니 불. *如 : 같을 여.

    *祭 : 제사 제.

    허권수 동방한학연구원장

    ※소통마당에 실린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